사업추진체계

- 지역인적자원
개발위원회
- 지역인력 수요조사
- 공동훈련실시
- 공동채용
- HRD 종합서비스
위원장
(산업계 또는 자치단계 공동)
- 사업주단체
- 지역경제단체, SC
- 자치단체
- 지방중기청
- 노동조합
- 시도교육청등
<인력공동관리 실무 지원> 19개 공단 지부·지사
- 기업 인력 수요조사
- 지역특화, 전략분야 분석
- 훈련공급 실태분석
- 수요기업체 확보
- 훈련직종 및 규모 확정
- 공동훈련센터 선정(제조업,서비스업등 특화)
- 참여 기업과 약정 체결
- 훈련생 모집 및 훈련 실시
- 훈련모니터링
- 수요(참여)기업 직접 매칭 – 공동훈련센터
- 고용센터 매칭 – 참여기업 외 관내 중소기업
- 공동관리 협약기업 대상 지역공동훈련 매칭
- 사업주훈련 등 타 훈련사업 매칭
- NCS활용 맞춤형 훈련프로그램 개발 지원
"인력공동관리체계 구축"위원회 구성→공동 수요조사→공동훈련→채용
사업운영체계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지역단위 인력양성계획 수립
공동훈련센터(파트너훈련기관 포함) 선정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기능 총괄
공동훈련센터
협력기업 교육훈련 제공
협력기업 교육훈련 자문위원
파트너훈련기관 운영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지원
유관기관
사업운영 체계별 역할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정책결정 등 총괄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전반
지역인자위 선정, 지역인자위 사업계획 심사 및 운영 지원
지역인력 및 교육훈련 수요·공급조사 및 지역인력양성기본계획 수립 지원
지역인력양성기본계획 심사 및 심의·확정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심의위원회 개최 및 운영 지원
지역·산업 맞춤 사업과 관련된 지원금의 지급 및 정산 지원
지역인력 및 훈련 수요·공급 조사에 대한 지원
공동훈련센터 선정 및 심사에 대한 지원
지역인력양성기본계획서 검토 및 컨설팅
위원회 및 실무협의회 참여
주요특징
- 지역단위 자율과 책임에 따른 성과중심 훈련 실시
지역별 산업 및 기업 특성에 따라 수시로 발생하는 수요를 반영하여 채용예정자훈련과 향상훈련(재직자훈련)을 연계하여 실시
지역단위로 수요조사와 사업계획 수립 등의 실질적 권한을 부여하되 모니터링과 성과평가를 통한 질 관리
- 지역단위 인력양성체계 구축에 따라 유사 인력양성사업을 단계적으로 연계 추진
각종 인력양성사업,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청년취업아카데미 등훈련 성격이 강한 사업에 대한 유사·중복성 검토 후 단계적으로 연계 추진
1. 지역인적자원개발 위원회
공모(선정필요시)
공단 본부
2. 지역인적자원 개발위원회
사업계획 심사
공단 본부
3. 지역 인력수요조사 및 분석
지역인자위
4. 지역인력양성 기본계획 심사
공단 본부
5. 지원금 지급
공단 지부·지사
6. 훈련생 선발 및 훈련실시
공동훈련센터
7. 채용지원
공동훈련센터
8. 성과평가 / 지원금 정산
공단 본부/공단 지부·지사